본문 바로가기

2023년 사회복지사 급여 가이드 라인 1급 2급 월급 수준


반응형

사회복지사

여러분들께 직업으로서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을 소개시켜드리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이 복지관이나 센터 등에서 일하는 모습을 상상하며 사회복지사가 되고자 하는 꿈을 가지고 계실텐데요. 실제로는 어떤 일을 하는지, 급여나 근무 환경은 어떤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겁니다. 오늘 제가 말씀드리는 이야기를 듣고 나면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사회복지사 급여

2020년 기준 사회복지사의 급여는 호봉제와 연봉제로 나뉩니다. 먼저 호봉제의 경우 경력자일 경우 수당이 붙습니다. 그리고 매년 물가상승률만큼 임금이 인상됩니다. 다만 정부에서 지원금이 나오는 시설이나 센터 등에서는 직급수당 및 직책수당이 제외되는 경우가 있고, 최저임금법 적용대상이므로 기본급 외에도 각종 수당(가족수당, 위험수당, 직무수당)등이 지급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연봉제의 경우 학력별, 경력별로 금액이 상이하며 보통 12개월로 나누어 지급받습니다. 여기서도 기관 혹은 법인시설이냐, 민간기관이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반직 공무원과는 다르게 퇴직금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회복지사 급여 가이드라인

2023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1.7%)수준 및 최저임금 급여(월 2,010,580원)를 반영, 자녀에 대한 가족수당 지급액 인상

 

적용기준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따라 사회복지사업을 행할 목적으로 설립된 사회복지시설(「영유아보육법」에 따른 '어린이집',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은 제외

 

2023년 인건비 가이드라인은 아래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 급여 가이드라인 보기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업

최근 우리나라에도 복지 제도가 확대되면서 많은 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특히 미래 유망 직업으로도 선정되어 주목받고 있는 직종이기도 하죠. 전망이 좋은 만큼 취득 조건 역시 까다로운데요. 2급 자격증 기준으로 전공 상관없이 전문대졸 이상 학력 소지자라면 누구나 가능하며, 총 17과목(51학점)을 이수하면 됩니다. (실습 160시간 포함) 단, 최종학력이 고졸이라면 학위와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데요. 학/점/은/행/제를 이용하면 전문학사학위 + 사복2급 과정을 3학기만에 끝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