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덕궁 후원 예약하기 관람예약


반응형

창덕궁은 한국 궁궐 건축의 대표적인 명소 중 하나입니다. 경복궁과 마찬가지로 조선 시대에 건축되었으며, 동궐이라고 불리는 창경궁과 함께 형제궁궐로 불리기도 합니다.

창덕궁은 지형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건물을 배치한 비정형적인 조형미를 갖추고 있으며, 후원도 각 권역마다 정자, 연못, 괴석 등이 어우러져 있어 왕실의 후원으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창덕궁 후원 예약


또한, 창덕궁은 조선 시대에 오랜 기간 동안 임금들이 거처했던 궁궐로서, 조선의 법궁(法宮)으로서의 역할도 했습니다. 현재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 중 하나입니다.

또한, 동궐도는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궁궐 건축 그림으로서, 당시 궁 안의 건물과 조경을 세밀하게 그려놓은 것으로, 예술적 가치와 함께 궁궐 연구와 복원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창덕궁 후원 예약

창덕궁의 후원 예약은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가능합니다. 먼저 예약 간편회원으로 등록하신 후, 관람을 희망하는 날짜의 6일 전 오전 10시부터 선착순 예매가 가능합니다. 예약을 완료하시려면 해당 거래건의 결제 마감 시간까지 반드시 신용카드로 결제해야 합니다. 결제 마감 시간까지 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 자동 취소됩니다.

후원 예약자는 전각 예약을 별도로 해주셔야 합니다.

무료 및 할인 대상자와 통합 관람권 소지자는 사전 예매 및 결제 완료 후, 관람 당일 해당 증빙 신분증 또는 증빙물을 매표소에 제시하면 환불 받으실 수 있습니다.

외국어 관람시간에는 내국인 예매가 불가능합니다. 다만, 외국어 해설 입장 시 여권, 외국인 등록증 등 관련 신분증 제시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 외국인 예매자도 결제 마감 시간까지 반드시 신용카드로 결제해야 예약이 완료됩니다.

개인당 최대 예매 인원은 10명으로 제한됩니다. 다만, 기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전화 예매 및 관람 당일 인터넷 예약은 불가능하며, 잔여 인터넷 예약분은 관람 당일 매표소에서 선착순으로 구매 가능합니다. 단, 현장판매표의 개인당 최대 구매 인원은 10명입니다.

후원은 제한된 관람지역에서 관람시간표에 따라 해설사의 인솔 하에 회차별 최대 100명(사전 인터넷 예매 50명, 당일 현장발매 50명)까지 입장 가능합니다. 개별 관람은 불가능합니다.

관람 당일 기상 상황 등 천재지변으로 인한 관람객 안전에 위험이 있을 시 관람이 취소될 수 있으며, 천재지변에 의한 관람 취소 시 위약금은 부과되지 않습니다. 입장 시간을 미준수하실 경우에는 입장이 불가하며, 환불도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예약하신 일정에 따라 충분한 시간 여유를 가지고 관람하시기를 권장합니다. 또한, 휴궁일이 공휴일(대체공휴일 포함)과 겹칠 경우에는 개방되며, 개방한 공휴일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을 휴궁일로 합니다. 관람 예약 시 이와 같은 사항을 미리 확인하시고 예약하시면 더욱 원활한 관람이 가능합니다.

 

창경궁 후원 예약하기

 

창경궁 후원 예약하기

 

 

예매요약

  • 후원 외국인 관람시간에는 내국인 예약 불가능하며, 외국인 동반자가 있는 경우 내국인 2명까지 입장 가능합니다.
  • 무료 및 할인 대상자와 통합관람권 소지자는 사전 예매 후 당일 현장에서 증빙서류나 자료를 확인한 후 티켓 교환을 해야 합니다.
  • 후원 관람은 제한관람지역이며, 관람시간표에 맞춰 해설사의 인솔 하에 회차별 최대 100명까지 입장 가능합니다.
  • 관람 동선은 계절, 날씨, 일몰시각, 기관사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예매는 관람희망일 제외 6일 전 오전 10시부터 선착순으로 예약 가능하며, 결제 마감 시간까지 결제해야 예약이 완료됩니다. 간편 회원 가입은 본인의 휴대폰 번호로 이루어지며, 예매 취소, 결제, 티켓 교환 등에 필요한 정보입니다.

 

창경궁 후원 관람코스

창경궁 관람 코스는 총 6개의 후원을 방문하는 경로로, 문화재해설사의 안내에 따라 관람합니다. 관람 동선은 후원입구, 부용지, 애련지, 연경당, 관람지, 옥류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소요 시간은 약 90분입니다. 

 

하지만 혹한기와 혹서기에는 관람객의 안전 및 자연 생태보존을 고려하여 관람동선이 일부 축소운영됩니다. 이때는 관람시간이 90분에서 70분으로 줄어들고, 관람동선은 후원입구, 부용지, 애련지, 관람지, 연경당, 향나무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후원입구

창덕궁 후원 예약

성정각 일원에서 창경궁과 경계를 이루는 담을 따라 올라가면 왕실정원의 초입부인 부용지에 이른다.

 

부용지

창덕궁 후원 예약

부용정은 창덕궁 후원의 첫 번째 중심 정원으로, 300평(약 1000㎡) 넓이의 사각형 연못인 부용지를 중심으로 여러 건물들이 지어졌습니다. 이곳은 휴식 뿐 아니라 학문과 교육을 위한 공개된 장소였으며, 주합루 일원의 규장각과 서향각 등은 왕실 도서관 용도로 쓰였습니다. 

 

영화당에서는 왕이 입회하는 특별한 과거시험을 치르기도 했습니다. 부용정 건물들은 각각 특색이 있지만, 서로 어우러지면서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습니다. 현재는 어수문을 중심으로 생울타리인 취병을 재현하여 지역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불로문, 애련지

창덕궁 후원 예약

애련지는 조선시대에 지어진 창덕궁의 후원 중 하나로, 연못과 정자, 건물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애련이라는 이름은 숙종이 연못 안의 정자에 지어진 이름으로, 연꽃을 좋아하는 숙종이 '내 연꽃을 사랑함은 더러운 곳에 처하여도 맑고 깨끗하여은연히 군자의 덕을 지녔기 때문이다' 라는 말을 남기며 붙인 이름입니다. 

 

애련지에는 애련정, 의두합, 운경거 등의 건물들이 있으며, 궁중에서 공부하는 곳으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궁중의 멋을 그대로 간직한 아름다운 곳으로,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연경당

창덕궁 후원 예약

연경당은 1828년에 효명세자가 아버지인 순조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를 위해 건립한 건물입니다. 조선 후기 사대부 살림집을 본떠 왕의 사랑채와 왕비의 안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사랑채와 안채가 분리되어 있지만 내부는 연결되어 있습니다. 

 

연경당은 단청을 하지 않았으며 120여 칸으로 규모가 큽니다. 서재인 선향재는 청나라풍 벽돌을 사용하였고, 농수정은 후원 높은 곳에 위치한 건물로 날렵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종 이후에는 외국 공사들을 접견하고 연회를 베푸는 등 정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존덕정과 폄우사

창덕궁 후원 예약

여기는 다양한 형태의 정자들이 세워져 있는데, 원래는 네모나 둥근 3개의 작은 연못이 있었으나, 1900년대 이후에 하나의 곡선형으로 바뀌었습니다. 이 지역은 후원 가운데 가장 늦게 갖춰졌다고 보입니다.

 

연못을 중심으로 겹지붕의 육각형 정자인 존덕정, 부채꼴 형태의 관람정, 서쪽 언덕 위에 위치한 길쭉한 맞배지붕의 폄우사, 관람정 맞은편의 승재정 등 다양한 형태의 정자들을 세웠습니다. 폄우사는 원래 부속채가 딸린 ‘ㄱ’자 모양이었으나 지금은 부속채가 없어져 단출한 모습입니다.

 

숲 속에 자리 잡은 승재정은 사모지붕의 날렵한 모습입니다. 이 중에서 1644년(인조 22)에 세워진 존덕정이 가장 오래된 건물이며, 관람정과 승재정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세운 것으로 추정됩니다.

 

옥류천

창덕궁 후원 예약

옥류천의 경치와 함께 다양한 각도에서 분산되어 있는 정자들이 매우 아름다운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소요암과 유상곡수연 등 역사적인 사실과 연관된 것들도 매우 흥미롭게 다가옵니다. 정원 전체적으로 산책을 하며 다양한 경치를 감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